1. 전기차(EV) 배터리
K배터리 3사의 가장 큰 시장!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모두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어.
LG에너지솔루션
- 주요 고객: 테슬라, GM, 포드, 폭스바겐, 현대차, 스텔란티스 등
- 주요 제품: 파우치형, 원통형 배터리
- 특징: 미국에서 GM과 합작법인(얼티엄 셀즈)을 운영 중이며, 테슬라에도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
삼성SDI
- 주요 고객: BMW, 폭스바겐, 리비안, 스텔란티스 등
- 주요 제품: 각형 배터리
- 특징: 고급 전기차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프리미엄 배터리' 전략을 추진
SK온
- 주요 고객: 현대차, 포드,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등
- 주요 제품: 파우치형 배터리
- 특징: 현대차의 아이오닉 시리즈와 기아 EV6 등에 공급하며, 미국 포드와도 합작법인(블루오벌SK)을 설립
* 먼저 전기차 배터리를 소개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2023년 기준으로 K배터리 3사의 전체 매출 중 약 80% 이상이 전기차 배터리에서 나오기 때문이야. 전기차 시장이 커질수록 배터리 시장도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고, 전기차 가격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30~40%로 가장 크기 때문이기도 하지.
배터리 사업시장 규모(2023)성장성주요 기업
전기차(EV) 배터리 | 1,800억 달러 | 매우 높음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CATL, BYD |
에너지저장장치(ESS) | 400억 달러 | 높음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
IT·소형 배터리 | 300억 달러 | 정체 |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
특수 배터리(방산·우주) | 50억 달러 | 제한적 | 삼성SDI 일부 |
+ 추가적으로 각형 배터리가 주로 사용되는 목적은 원동형이나 파우치형에 비해 외부 충격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파우치형은 각형에 비해 외부 충격에 약한 편이지만 대신 크기와 용량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쉬워 공간 효율이 좋아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위에 정리한 건 각 회사가 대표로 생산하는 배터리를 적어놓은 것이지 저것만! 생산하는건 아니다.
2.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전력망과 신재생에너지 저장용 배터리로, 태양광·풍력 발전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데 사용됨.
즉 대규모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해 설게된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
- ESS 시장에서도 글로벌 강자이며, 미국과 유럽에서 사업을 확대 중.
삼성SDI
- 산업용 ESS 배터리를 공급하며, 장수명 배터리 기술을 개발 중.
SK온
- ESS 사업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전기차 배터리와 함께 연구 중.
- ESS 배터리는 전기차 배터리보다 크고, 긴 수명과 안정성이 중요!
ESS는 어떻게 생겼냐고?? 대강 아래 처럼 비슷하게 생겼지만 컨테이너형 모듈로 구성된다고 보면된다.
-
3. 전자기기 및 IT 배터리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배터리도 제조함.
LG에너지솔루션
- 원통형 배터리를 애플, 삼성전자 등 전자기기 업체에 공급.
- 드론,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배터리도 생산.
삼성SDI
-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배터리 공급.
- 글로벌 IT 기업에도 배터리 공급.
SK온
- 소형 배터리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음.
소형 배터리는 IT 기기뿐만 아니라,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전동스쿠터 등 다양한 제품에도 사용돼.
4. 항공·우주 및 특수 배터리
전투기, 인공위성, 우주 탐사선 등에 들어가는 고성능 배터리도 생산함.
삼성SDI
- 방산 기업과 협력해 전투기용 배터리, 우주선 배터리 개발.
LG에너지솔루션 & SK온
- 주력 사업은 아니지만, 연구 중.
항공·우주 배터리는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력이 매우 중요
정리: K배터리 3사의 주요 배터리 사용처
전기차(EV) | ✅ 메이저 시장 | ✅ 고급 시장 | ✅ 현대·포드 협력 |
에너지저장장치(ESS) | ✅ 글로벌 1위권 | ✅ 산업용 강자 | ✅ 연구 진행 중 |
전자기기(IT기기) | ✅ 스마트폰·노트북 | ✅ 삼성전자 공급 | ❌ 비중 적음 |
항공·우주·방산 | 🔄 연구 중 | ✅ 특수 배터리 개발 | 🔄 연구 중 |
여기서 짧게 짚고 가고 싶은 부분이, 위 3사의 각각 구상하는 사업 형태가 있는 것 처럼. 테슬라 또한 차별점을 가지고 있다.
2020년 9월에 일론 머스크가 직접 4680 배터리 셀을 공개하였고 전작 배터리 대비 압도적인 성능과 효과를 언급한 것을 시작으로 2023년에 본격 양산을 하기 시작했어. +4680 원통형 배터리는 NCA계열 배터리이다.
기업배터리 셀 형태설명
테슬라 | 원통형 (1865, 2170, 4680) | 조립과 냉각이 유리함. 특히 4680은 차세대 고효율 셀 |
LG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 | 다양한 형태 대응 가능 |
삼성SDI | 각형 중심 | 고밀도, 고안정성 |
SK온 | 파우치형 중심 | 얇고 가벼워 공간 효율 좋음 |
- 테슬라: 배터리 자체 생산 추진 (Gigafactory, 4680 셀), Panasonic, CATL, LG엔솔과도 협력
- LG엔솔/SK온/삼성SDI: 글로벌 OEM 고객 대상 B2B 공급, 합작 공장 적극 운영 (GM, Ford, Stellantis 등과)
- 테슬라: 고속 충전, 4680 셀 기술, 구조체 배터리 (배터리 자체가 차량 프레임 역할)
- 한국 3사: 열관리, 수명 연장 기술, 고에너지 밀도 셀, 리튬/코발트 저감 기술 등에서 경쟁력 있음
4680 배터리의 화학 조성 요약
화학 조성 | 하이니켈 NCA (니켈 함량 ↑, 코발트 ↓) |
특징 | 에너지 밀도 높고, 고출력 / 주행거리↑ |
전략 | 코발트 함량을 최소화해서 원가 절감 + 윤리적 문제 완화 |
설계 | "탭리스(Tabless)" 구조로 저항 감소, 발열 감소 |
왜 4680에 NCA를 썼을까?
고성능 전기차용 | 에너지 밀도가 높아야 테슬라의 장거리, 고성능 모델에 적합 |
주행거리 개선 | 주행거리를 최대화하려면 고용량 셀이 필요함 |
구조 배터리 설계 | 셀 자체를 차량 프레임에 통합하는 구조에는 고출력, 고밀도 셀이 필요함 |
LFP (리튬-인산철 / Lithium Iron Phosphate)
구성 | 리튬 (Li) + 철 (Fe) + 인 (P) |
특징 | 안정성 우수, 긴 수명, 저비용 |
장점 | 화재 위험 낮음, 저온에서도 안정적, 싸고 오래 감 |
단점 | 에너지 밀도 낮음 → 주행거리 짧음, 부피 큼 |
사용처 | 테슬라 Model 3 (중국산), Model Y RWD, 보급형 전기차, 버스 등 |
'부-투자. 회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벨리온의 재무 상태와 미래 성장 전략 분석 (0) | 2025.04.11 |
---|---|
브로드컴 CEO와 주요 임원진 소개 (0) | 2025.04.11 |
빅테크가 조용히 투자하는 산업계의 자동화 히든챔피언, 에머슨 일렉트릭 (2) | 2025.04.02 |
구글도 쫓기는 유니콘 기업 퍼플렉시티를 빠르게 알아보자! (0) | 2025.04.02 |
팹리스, NPU, AI, 퓨리오사, 엔비디아 등 이거 하나로 이해 시켜줄게. (6)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