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끼아이티
IT 관련 정보를 센 불에 빨리, 쉽게 요약해서 전합니다.
largepizza93.tistory.com
SKT 사태 이후, 스타링크는 한국의 새로운 통신사가 될 수 있을까?
2024년 말, SK텔레콤의 대규모 통신 장애 사건은 많은 이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하루아침에 휴대폰이 먹통이 되고, 카드 결제도 되지 않고, 택시 호출 앱도 작동하지 않았다. 통신이 멈추자 일상이 마비되는 경험을 한 국민들은 '우리가 한 통신사에 너무 의존하고 있었던 건 아닐까?'라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외 통신 기술 중 하나가 조용히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바로 일론 머스크가 만든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다. 과연 스타링크는 한국에서 새로운 통신사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그리고 스타링크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들어온다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이 질문에 대해 쉽고, 편하게, 하지만 핵심은 놓치지 않고 풀어보았다.
스타링크란 대체 뭐길래?
스타링크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Space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다. 기존의 인터넷이 땅에 깔린 광케이블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이라면, 스타링크는 지구 궤도에 떠 있는 수천 개의 위성을 통해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즉, 땅에 인터넷 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하늘에 떠 있는 위성과 안테나만 있으면 어디서든 인터넷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오지, 산간, 섬, 심지어는 비행기나 배 위에서도 고속 인터넷을 쓸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통신과는 차원이 다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국내 시범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는 뉴스가 나오면서 다시 한 번 관심이 집중되었다.
SKT 사태가 준 교훈: "대안이 필요하다"
2023년 10월 SK텔레콤의 장애 사태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었다. 전국에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기본적인 생계 활동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통신 주권'이라는 말이 다시 회자되기 시작했다.
특히 현재 대한민국은 SKT, KT, LG U+라는 3대 통신사가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한 곳에 문제가 생기면 수많은 사용자가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결국 많은 사람들이 "외국계 통신사가 들어오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스타링크가 있으면 최소한 대체선은 생기는 것 아닌가?"라는 기대를 품게 되었다.
스타링크의 한국 진입,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술적으로는 이미 가능하다. 스타링크는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미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서비스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2023년 말, 스타링크는 한국 정부로부터 전파 사용 허가를 신청하였고, 2024년부터 일부 지역에서 시범 서비스가 시작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하지만 ‘통신사’로 진입하는 건 기술력만으로는 어렵다. 법적 규제, 시장 진입 장벽, 기존 통신사들의 반발 등 수많은 정치·경제적 요소가 얽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성 기반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스타링크는 기존 통신사와 다른 영역을 개척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산간벽지나 도서지역, 재난 상황, 군사 지역, 우주산업, 드론 산업 등에서는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스타링크가 진입하면 우리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
- 인터넷이 안 되는 곳이 사라질 가능성
지금까지는 산에 가거나 섬에 들어가면 인터넷이 끊기는 일이 흔했다. 하지만 스타링크가 상용화되면 ‘어디서든 인터넷이 되는 세상’이 실현될 수 있다. - 재난 대응 능력 향상
SKT 사태처럼 통신이 끊기는 재난 상황에서, 위성 기반 백업 통신망은 정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가 비상용으로 스타링크를 활용하면 대응 능력이 훨씬 나아질 것이다. - 군사·보안 통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실제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스타링크는 전쟁 중에도 통신을 유지하게 해준 핵심 수단으로 평가받았다. 우리나라처럼 지정학적으로 민감한 곳에서는 보안성과 독립성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요금은 비싸지만, 가치가 있다
현재 기준으로 스타링크는 장비비 약 80만원, 월 요금 약 12만원 수준이다. 싸지는 않지만, 도심이 아닌 지역에 사는 사람들, 또는 재난 대비용으로는 충분히 가치 있는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스타링크, 통신사인가 플랫폼인가?
스타링크는 한국에서 기존 통신사와 정면으로 경쟁하긴 쉽지 않을 수 있다. 대신, ‘백업 통신망’, ‘특수 목적용 인터넷 플랫폼’이라는 포지셔닝이 더 현실적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기술이 더 대중화되면, 스타링크가 단순한 위성 인터넷을 넘어서서 ‘글로벌 통신 플랫폼’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크다.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많아지는 것이 좋은 일이다. 독점 구조가 깨지고, 서로 경쟁하게 되면 품질은 올라가고 가격은 내려가게 된다.
스타링크는 ‘대체 불가한 존재’가 될 수 있다
스타링크가 한국의 정식 통신사로 자리 잡을지는 아직 모른다. 규제와 기존 기업들의 반발, 기술적 제약 등 넘어야 할 산은 많다.
하지만 확실한 건,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해왔던 ‘통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다는 것이다.
스타링크가 당장 우리 휴대폰에 LTE 대신 뜨는 일은 없겠지만, 위급한 상황에서, 혹은 통신이 닿지 않는 곳에서 우리를 지켜주는 ‘대체 불가한 통신망’으로서의 역할은 분명 기대할 수 있다.
앞으로 스타링크가 한국에서 어떤 방식으로 자리 잡을지 지켜보는 일은 꽤 흥미로울 것이다.
https://largepizza93.tistory.com/entry/skt-albamon-hacking-analysis
SKT·알바몬 해킹사건, 누가 왜 이런 일을 벌였을까?
야끼아이티IT 관련 정보를 센 불에 빨리, 쉽게 요약해서 전합니다.largepizza93.tistory.com SKT·알바몬 해킹 사건, 누가 왜 이런 짓을 벌였을까? – 디지털 보안의 진짜 위협을 쉽게 풀어보았다최근 며
largepizza93.tistory.com
https://largepizza93.tistory.com/entry/blockchain-phone-privacy-future
USIM 시대 끝? 핸드폰 개인정보를 지키는 블록체인 혁명
야끼아이티IT 관련 정보를 센 불에 빨리, 쉽게 요약해서 전합니다.largepizza93.tistory.com 핸드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최근 SKT 개인정보 유출 사태가 터지면서 대한민국은 큰
largepizza93.tistory.com
https://largepizza93.tistory.com/entry/future-telecom-security-blockchain
SKT 개인정보 유출, USIM 해킹 (+블록체인 보안의 미래)
야끼아이티IT 관련 정보를 센 불에 빨리, 쉽게 요약해서 전합니다.largepizza93.tistory.com SKT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본 USIM 해킹 위험성과, 블록체인으로 보는 미래 통신 보안 이야기최근 대한민국을
largepizza93.tistory.com
'주-IT정보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 외국인 부동산 매수 찌라시, 통계로 팩트체크 (0) | 2025.05.07 |
---|---|
신생아 여름 육아의 모든 것: 연고 추천부터 외출 팁까지 (0) | 2025.05.07 |
혈당 조절로 식곤증 타파! 체중도 덤으로 빠지는 식이 루틴 (0) | 2025.05.06 |
원자재 강국 러시아의 부활 가능성,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길을 찾다 (0) | 2025.05.03 |
교황 바뀌면 주식시장도 반응할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이야기 (0) | 2025.05.03 |